posted by 해이든 2019. 5. 31. 12:05

감독 토드 헤인즈

벨벳 골드마인

<벨벳 골드마인>은 '데이빗 보위'의 노래 중 하나이다. 토드 헤인즈 감독의 <벨벳 골드마인>은 1970년대 영국의 글램 록을 배경으로 록가수 '데이빗 보위'와 '이기 팝'을 각색하여 그려내고 있다.

1970년 초반 영국 런던을 비롯하여 유럽지역에서는 '매혹적인 록'을 의미하는 <글램 록>이 각광받던 시대였다.

글램 록은 음악계뿐 아니라 그들의 패션과 동성애적인 것까지 따라하는 젊은이들로 인해 유행을 불러오면서 영화에까지 그 영향력이 미치게 된다.

변신의 아이콘이었던 영국 런던 출신 뮤지션 '데이빗 보위'와 '이기 팝' 등은 글램 록 아이콘으로 1970년 중후반까지 젊은 세대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으며 그 인기를 이어갔다.

조나단 리스 마이어스

멋쟁이들이 가득한 영국 런던에서 이 모든게 시작됐다.

글램 록 뮤지션이었던 '브라이언 슬레이드'(조나단 리스 마이어스)는 아름다운 록스타로

제리 디바인과 계약을 하고, 진한 화장, 파격적인 의상, 노골적이고 동성애적인 느낌으로 이미지를 만들어가며 새로운 문화 트렌트를 이끌어낸 천재적 아티스트이다.

그는 우아했고 허구의 세계에서 어울릴 법한 스타로 자신의 음악이 소외된 자들에게 들릴 거라고 생각했다.

그는''왜 화장을 하는거죠?'' 기자의 질문에

''락 앤 록은 매춘이기 때문이죠. 야하게 공연해야 됩니다.

음악은 가면이고 전 야한 옷을 입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거죠.''

동성애적 느낌을 뿜어내는 그의 이미지, 예술적 감각의 뮤직비디오, 환상적인 연출, 라이브 공연으로 대중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결국 스타일이 이긴다는 그의 말이 맞았다.

대중의 열광적인 호응을 얻으며 그는 슈퍼스타로서 유명세를 등에 업는다.

나는 '브라이언 슬레이드'를 연기한 '조나단 리스 마이어스'만 눈에 들어왔다.

참 남자보고 아름답다고 말할 수 있으리라 생각지 못했는데 진짜 예뻤다.

기성세대들은 그가 동성애 밝힘증이나 사회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칠까 우려했지만 젊은이들은 열광하며 춤추는 분위기였고 새로운 변화와 함께 글램 록 스타가 탄생되었다.

그는 무대 위에서 화려하게 빛났다

그의 음악과 아름다움이 매혹적인 록 역사를 새로 쓴 것이다.

예술가는 자기 삶으로도 미를 창조한다. 이에 대중들은 환호한다. 그는 가수이면서 예술가였다.

커트 와일드 역 '이완 맥그리거'

커트 와일드는 어릴 적 동성애적인 문제로 전기쇼크 치료를 받았다.

그는 전자기타 소리를 들을 때마다 이상해진다. 그의 라이브 공연은 너무 노골적이고 적나라해서 충격이 아닐 수 없었다. '이완 맥그리거'가 '이기 팝'이라는 가수를 연기한 것인데, 이 공연장면은 연기가 아닌 광기처럼 느껴졌다. 다들 미쳤구나! 생각이 들 정도였다. 그러나 브라이언 슬레이드는 커트 와일드(이완 맥그리거)의 이 공연을 보고 예리한 전율을 느끼며 그에게서 영감을 받는다. 두 아티스트의 결합은 브라이언의 음악적 교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브라이언 슬레이드는 커트 와일드와 결합하여 서로 예술적 교감을 나누며 공연을 한다.

그러다 점점 마약과 스캔들로 인해 타락의 소용돌이에 빠져들고 끝내는 마찰을 빚으며 결별에 이르게 된다.

브라이언의 아내 맨디(토니 콜렛) 또한 그를 더 이상 받아들이지 못하고 상처만 입은 채 떠난다.

브라이언 슬레이드 역 '조나단 리스 마이어스'

월트투어 콘서트에서 가수 브라이언 슬래이드가 무대에서 피격되는 사건이 벌어진다.

하지만 그 피격은 속임수였다.

암살되는 자작극을 벌인 것이다.

재미를 위한 것이라는 해명에도 불구하고 너무 크게 벌려서 악의적인 쇼라 비난받는다.

그로 인해 월드 투어와 시상식이 취소되고 인기도 추락하게 된다.

거짓 속에서 헤매다 모든 게 무너지기 시작했다.

그는 무대에서 사라지고 대중들의 기억 속에서 점차 잊혔다. 세상에서 사라져 버린 것이다.

아서 스튜어트 역 '크리스찬 베일'

그리고 10년이 흐른 후, 뉴욕 헤럴드지의 아서 스튜어트(크리스천 베일)는

브라이언 슬레이드의 암살 자작극 10주년을 맞이하여 브라이언의 근황을 취재하라는 특집기사를 맡게 된다.

아서는 10년 전 글램 록 열성팬으로 우상이었던 그의 자작극 공연 현장에 있었다.

시간에 묻혀 우상이었던 브라이언 슬레이드를 잊고 있었는데 취재로 인해 과거에 자신을 열광시키던 감정과 그에게 이끌려 들어갔다.

아서는 사라진 브라이언 슬레이드의 행방을 수소문하기 위해 주변 인물들을 만나며 무대 위 록가수가 아닌 개인의 삶을 들여다보게 된다.

 

브라이언 슬레이드는 자신의 진가를 인정받지 못해 두려움 속에서 살다 사라졌다. 그의 매니저도, 전처도, 친구도 그와 연이 끊어졌다.

대중들은 한때 미친 듯이 열광한 것과는 다르게 거품 빠지듯 허무하게 빠져나갔다.

무대 위에 오른 스타의 인기는 한때 유행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물론 스타가 탄생하기까지 많은 고통을 감수해야 하지만 무너지는 건 한 순간이다.

이름까지 바꾸고 종적을 감춘 브라이언이 다른 이름의 가수로 살아가고 있다는 걸 아서는 알게 된다.

그는 화려한 조명을 떠나 살 수 없는 운명처럼 다시 인기에 매달려 노래하고, 또 대중은 자신들의 열광할 수 이미지를 쫒아 그가 예전의 브라이언 슬레이드인지 모르고 새롭게 만들어진 이미지에 환호하고 지지하고 있다.

어쩌면 대중들은 그저 자신들의 욕망을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진 스타의 이미지를 통해 자유를 누리는 것이지 스타란 개인적 인간에 대한 사랑이나 지지가 아닌 것처럼 보인다.

새로운 이미지는 계속 변화해야 되고, 그저 한 개인에 지나지 않는 가수, 예술인들은 그들의 욕구를 채워줘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지쳐간다.

대중문화라는 것이 그저 유행만을 좇는 것으로 비하하는 사람들의 목소리에도 뼈가 있어 보이는 이유다.

그 열망이 식으면 유행도 사그라지고 자연히 멀어지고 잊힌다.

 

어쩌면 자작극을 벌여서라도 브라이언을 죽이고 새로운 이미지를 재탄생시켜 인기를 얻으려는 그의 연기가 아니었을까.

어차피 음악은 가면이고 이미지만 답인 양 유행만 좇는 대중들을 향해 쏘아 올린 비난은 아니었을까.

 

'생각보다는 이미지가 좋고,

주제보다는 상황이,

긴 것보다는 짧은 비행이,

전형보다는 예외가'

어쩌면 이 말속에 대중이 요구가 있는 것 같고, 그 유행을 만들어내야 하는 소속사나 매체들은 인간보다 스타를 계속 찍어내야 공장이고, 한 개인은 스타가 되는 꿈을 꾸는 순간 꿈은 사라지고 인기만을 쫒게 되는 축 쳐진 세계에 갇히게 된다.

아서는 우연히 커트 와일드를 만나게 된다.

"우린 세상을 바꾸려 했어. 그런데 우리 자신만 바뀌어버렸어."

어쩌면 화려함을 입는 순간, 인기에 얽매이는 순간, 그들이 꾸는 꿈에서 멀어지고, 대중이 원하는 것만 내주며 무대 위에 올라야 했을 것이다. 무대에서 내려오면 그들은 자신을 통제하지 못한다.

결국 세상에 의해 통제되는 삶을 살아가는 게 스타의 운명인 것 같다.

자신에게 자유를 줄 수 있는 삶을 살기 위해, 또 꿈을 꾸기 위해 자신의 이미지보다는 생각이나 가치를 담아내야 하고, 인기나 유행에 매달리지 말아야 한다.

대중들은 그저 유행에 따라 모방하고 열광하는 것일 뿐이다.